2024년 4월 9일 화요일

은의 귀환 - 태양전지와 전기차가 이끄는 은 가격 상승 드라마



은은 만들기 까다로운 금속입니다. 은이 들어있는 암석에는 납, 아연 등이 섞여 있어 은을 추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은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런 광물들로부터 은을 분리해야 하는데, 로마시대부터는 수은을 사용해서 은을 분리해왔습니다. 잘게 빻은 은광석에 수은을 섞으면, 수은에 은이 녹아 아말감이라는 합금이 되고, 이를 가열해 수은을 증발시키면 은이 남게 됩니다.


과거 세계 최고의 은광이었던 볼리비아의 포토시 광산에서도 이런 방식으로 은을 채취했지만, 공기 중에 방출된 수은이 작업하던 원주민들을 중독시켜 80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희생되는 비극이 있었습니다. 이후 파티오 공법이라는 새로운 방식이 개발되었습니다. 마당에 은광석을 부어놓고 수은을 뿌린 뒤 노새를 달리게 해 은이 수은에 녹아 나오게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사람들 대신 노새의 희생을 통해 은을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편 조선에서는 15세기 말 연은분리법이라는 혁신적인 기술이 등장했습니다. 이 방식은 납과 은을 분리해 추출하는 것으로, 수은을 사용하지 않고도 은을 높은 순도로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 연산군 앞에서 김갑불과 김검동이 이 기술을 실제로 시연하였고, 이를 계기로 민간의 은광 채굴이 허용되었습니다. 연은분리법은 기존 중국의 회취법보다 더 많은 은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에 종래에는 중국으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연은분리법이 처음 시연된 지 3년 후인 1506년, 중종반정이 일어나며 연산군이 왕좌에서 물러나게 됩니다. 중종은 취임 즉시 사치풍조 척결을 내세우며 민간의 은광 채굴을 금지시켰습니다. 연산군의 총애를 받은 장숙용의 집안이 단천 은광 사업권으로 큰 부자가 되는 등 은광산에 적폐가 많았던 것도 사실이었기 때문입니다. 


30년 후에는 연은분리법이 일본의 이와미 광산으로 전해지게 되었습니다. 이와미 광산은 매장량은 많았지만 납이 다량으로 섞여 있어 하급 은광산이었습니다. 하지만 연은분리법이 도입되면서 엄청난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이 한 곳의 은 생산량이 전 세계 은 생산량의 1/3을 차지하게 된 것입니다. 이와미 광산 기록에는 1533년에 조선반도로부터 초청한 기술자 경수와 종단에 의해 연은 분리법을 도입했다고 쓰여 있습니다.




일본은 국내에서 쓰고 남은 은을 매년 200톤씩 수출하기 시작했고, 세계 2위의 은 수출국이 되었습니다. 여기에 돈냄새를 맡은 눈치 빠른 네덜란드 유대인들이 일본에서 은을 구입해 중국, 인도, 유럽 등지에서 비즈니스를 펼치며 막대한 이익을 거두게 되었습니다. 


당시 유럽 지역의 금과 은의 가치 교환비율은 12대 1 정도였지만, 중국은 은본위제 국가라 은의 가치를 상대적으로 더 높게 평가했기 때문에 은과 금의 교환비율은 6대 1 정도로 좋았습니다. 이처럼 은이 널리 유통되면서 중국의 은본위제 사용이 늘어났습니다. 은행이라는 말 자체가 중국에서 나왔듯이, 당시 전 세계에서 은을 가장 많이 쓰던 나라가 중국이었습니다. 


1934년,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은 통화 안정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계획의 핵심은 정부가 은을 대량으로 사들이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은구입법이라고도 불린 이 계획에 따르면, 온스당 45센트 였던 은을 무제한으로 온스당 1.29달러까지 사들이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당시 1달러짜리 은화에 은이 77%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은값이 온스당 1.29달러가 되어야 1달러짜리 은화의 실질 가치가 1달러가 되는 것이었죠. 정부가 은화 가치를 높이기 위해 은을 대량 구매하자, 은 가격은 급등하기 시작했습니다. 단 3년 만에 은 가격은 300% 이상 상승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으로부터 은이 미국으로 대량 유출되었습니다. 중국 내에 은이 부족해지자, 중국은 결국 은본위제를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은이 더 이상 화폐로서의 가치를 잃고 귀금속이나 산업용 금속으로만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정부의 은 대량 구매 정책이 은 가격 급등을 초래했고, 그로 인해 중국의 은본위제가 붕괴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이는 은이 화폐로서의 지위를 잃게 되는 계기가 되었죠.




그러나 다시 최근 들어 산업현장에서 은의 수요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태양전지, 전기자동차, 통신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은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고효율 태양전지 기술인 TOPCon과 HJT 방식에서 은의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은광 발견이 없었기 때문에 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2021년과 2022년에도 은 수요가 공급을 크게 초과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지금의 생산 수준이 유지된다면 20년 내에 채산성 있는 은광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지속되면서 은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와 중국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도 은 가격에 변동을 주고 있습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은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중국 경기가 부진할 때는 산업용 수요 감소로 은 가격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반면 중국이 경기 부양에 나서면 은의 수요가 늘어나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은의 수요 증가, 공급 부족, 통화정책, 중국 경기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면서 은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은 가격은 더욱 오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관심있을만한 다른 포스팅들:

다각도에서 본 최근 유가 급등의 이유와 전망

경기 침체 때 돈 버는 이색 산업군 - 미국 사설 교도소와 한국 부실채권 관리

샘 알트만의 에너지 혁신: 소형원자로(SMR)와 사용후 핵연료의 재활용을 향한 도전

댓글 없음:

댓글 쓰기